|
 |
|
[튜토리얼]토이스토리3 - 라이팅과 컬러 제작기 II |
|
|
2010-08-20 |
|
|
 |
|
헐리우드에서는 외모가 전부이고, 디지털 장난감은 나이를 먹지 않는다.
|
|
|
|
 |
|
 |
 |
|
또 다른 예로 두 가지 다른 시간과 분위기를 그리기 위해 컬러와 라이팅이 사용된 곳은 Lotso의 옛날이야기 동안입니다. 그것은 Chuckles the Clown이 Woody에게 해주는 어떻게 Lotso가 한때 Daisy라는 젊은 여성을 만나게 되었는지 또한 어떻게 실수로 공원에 남겨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가 사랑한 Daisy를 다시 찾기 위해 분투하지만, 그는 자신이 곰 인형으로 대체되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고 마음이 아파옵니다. |
|
| |
|
|
“그렇게 비추어서 Lotso가 장면에서 유일하게 분홍색을 띈 것이며, 다른 컬러를 압도하게 만들어서 세상, 데이지 세상의 중심이라는 느낌이 들도록 했습니다.” 러브 스토리 감성을 만드는 것입니다. Lotso가 결국 집으로 가는 길을 찾아 왔을 때, 그는 대체된 곰을 발견합니다, 대체된 곰은 핑크 소재이고 Lotso의 컬러는 보다 배경의 색이 보다 전이되게 됩니다. 이는 그를 주목의 한가운데에서 주변부로 잃게 됨을 말합니다. “필름의 남은 부분과는 다른 느낌을 가질 필요가 있는 아이디어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토이 스토리적인 모습에서 너무 떨어지면 안되었습니다. Lotso의 핑크색을 밀면서 나머지 컬러를 압도하고, Bloom을 많이 사용하여 그 장면을 다른 장면에서부터 분리시켰습니다. 다른 것은 그렇게 조명을 한 적이 없고, 고도로 스타일을 살렸습니다. 그것은 회상 같은 효과를 만들었고 누군가 말하는 듯 한 효과를 주었습니다.” |
| |
|
 |
|
|
비록 몇몇 캐릭터는 완전히 새로운 것이었지만, 고유의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라이팅이 주어졌습니다. 비록 그 정보는 아무리 해도 잠재적일 수 있지만요. 예를 들어서 Bonnie 어린이는 언제나 얼룩덜룩한 조명 아래 있습니다. 그녀의 침실에서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은 나무를 거쳐서 들어오게 되고 Andy가 그녀에게 장난감을 줄 때, 교환과정은 나무아래에서 이루어집니다. “우리는 Bonnie가 보호받는 장소에 있다는 느낌을 주려고 했습니다. 약간 유기적이고 살아있는 장소에 말입니다.” 화이트가 설명합니다. 이에 비해 영화 초반부에 쓰레기 트럭에서 장난감들을 구하기 위해 Woody가 가위를 들고 창문에서 뛰어 내릴 때, “우리는 밝은 햇빛을 사용했습니다. 그는 그림자 진 곳에서 또 다른 그림자 진 곳으로 뛰어다녔지만 우리는 그를 최대한 노출되게 하려고 했습니다.” 위험을 암시하면서 Woody는 그의 친구들을 구하러 떠납니다. |
| |

 | |
|
|
Bonnie의 침실도 별의 모티브를 나타냅니다. 침대 곁의 등에서 비치며 부드럽게 도는 별들이 벽에 닿습니다. 밤 장면에서 그녀가 잠들었을 때 Woody는 어떻게 집에 다시 들어올 것인지 찾아내려 합니다. 침실은 청색에 흠뻑 젖어 들고 오렌지 빛 하이라이트가 있습니다. 색깔은 Andy의 방을 본 딴 것이고, 별무늬 벽지는 토이 스토리 2를 흉내 낸 것입니다. 청색은 안전을 나타내기 위해 쓰였습니다. 장난감들이 처음 내팽개쳐지고 그들이 탈출했다고 생각했을 때, 그들은 청색 상자 아래로 숨습니다. Andy의 차도 청색이며 이것도 Andy와 안전한 안식처라 알려진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
| |
|
 |
|
 |
|
그러나 아주 노란색이 나타나날 때나, 마지막에 클라이막스 장면이 밝은 노랑과 붉은색으로 비칠 때 그 색들은 Lotso를 의미합니다. 장난감들이 처음 Lotso가 악마라는 것을 알았을 때 근처의 테라리엄은 붉은 빛을 비칩니다. “그것은 부수적인 것이지만 장면에 긴장감을 더해줍니다. 무엇이 진행되느냐에 따라서 나중 장면에서 그것을 강조하거나 축소시킵니다.” 그와 똑같은 장면에서 성격이 바뀐 Buzz는 장난감들을 불러 모아서 보관함에 가둡니다. 컬러는 단계적으로 채도가 낮아져서 암울한 느낌을 더합니다. “이것은 부차적인 것입니다. 하지만 철장에 갇힌 캐릭터들이 좀 더 가혹하고 절망적으로 보이도록 해줍니다.” |
|
| |
|
|
픽사는 GI(Global Illumination)을 쓰지 않았습니다. 대신 각 씬은 많은 라이트가 있습니다. 어떤 것은 지오메트리에 붙어 있고 어떤 것은 전체 세트에 있습니다. “어떤 방식에서는 흔히 GI로 얻는 결과물을 흉내 내기도 합니다. 우리는 미리 테스트를 많이 하고, 오클루전이나 보다 세련된 리플렉션에 넣고, 옛날 영화의 모습에서 제거할 필요 없이 어떤 값으로 조절할지 찾아봅니다. 업데이트된 것 같지만 여전히 처음 토이 스토리 영화의 느낌이 납니다.” |
| |
|
 |
|
|
수많은 라이트가 장면에 따라 달라지는 반면 “우리는 아마 100개가 있습니다. 더 많을 때도 있고 더 적을 때도 있습니다.” 크고 복잡한 세트는 당연히 더 많은 라이트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아니면 수많은 실질적인 라이트가 있다고 했을 때, 더 많은 라이트를 갖게 됩니다. 이들은 마스터 라이팅에 속하므로 장면의 조명장치가 케릭터와 props를 상대하는 데 집중된 서브셋과 작동합니다. 이러한 서브셋으로 20~50개의 라이트는 보통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몇 개의 라이트를 추가하는지, 또 퀄리티와 그림자의 수에 대해 꼼꼼한 편입니다. 아마도 프레임당 4시간씩 렌더링을 하지만 더 걸리지는 않습니다!”
아, 하지만 적어도 구식 SGI의 PowerAnimator 버전 3로 일하지는 않아야겠죠. 그런 날도 있기는 했지만요~! |
| |

 | |
|
|
|
출처 : CGSociety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