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landlogo First Page
고객센터   
gallery media job community contentsmall  
  dbrush Blizzardfest 2014
 
[행사소식]2002 캐나다애니메이션특별전   2002-08-26
서울시와 주한캐나다대사관이 공동주최하고 서울산업진흥재단 서울애니메이션센터가 주관하는 2002캐나다애니메이션특별전-NFBC 스페셜이 열린다.
오현택기자 hyuntaek@cgland.com
ⓒ 디지털브러시 & cgland.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서울시와 주한캐나다대사관이 공동주최하고 서울산업진흥재단 서울애니메이션센터가 주관하는 ‘2002캐나다애니메이션특별전-NFBC 스페셜’이 9월 13일부터 18일까지 6일간 서울애니메이션센터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양국간 문화 교류라는 의의에서 추진되는데,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NFBC(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캐나다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열려 국내 일반대중을 비롯한 애니메이션 애호가들에게 많은 관심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NFBC는 1939년 캐나다를 전세계에 알리기 위해 영화를 비롯한 다큐, 어린이물 등 시청각 작품들을 제작, 배급하는 기관으로 설립된 이래, 캐나다의 영화제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노만 맥라렌(Norman McLaren)이 1941년에 NFBC에 합류하면서부터는 애니메이션 지원의 폭이 넓어지기 시작했다. 이후 캐나다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국가 주도형으로 문화인프라 구축에 노력하는 대표적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캐나다 애니메이션은 상업적 애니메이션과는 달리(일반적인 셀과 종이가 아닌) 인형, 모래, 유리 등 실험적인 애니메이션들을 연출해내면서 각 작가별로 독특한 표현양식과 주제의식이 돋보이는 작가주의 작품들을 많이 제작하게 되었다. 또한 NFBC가 있는 오타와 지역은 불어권의 전통을 내재하고 있는 곳이라 유럽 취향의 애니메이션이 주도적인 것도 특징이다.

이번 행사의 구성은 크게 NFBC 출신 감독 작품의 상영과 전시, 감독초청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미 국내에도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는 노먼 맥라렌(Norman McLaren)을 비롯하여 이슈 파텔(Ishu Patel), 자크 드루엥(Jacques Drouin), 코 회드만(Co Hoedeman), 캐롤라인 리프(Caroline Leaf) 등 세계적인 작가들의 명작들로 펼쳐진다.

상영회는 작가전, 신작전, 오스카셀렉션의 3가지 카테고리로 나뉘어 상영되며, 대표 상영작으로는 노먼 맥라렌의 ‘Neighbours’와 같은 초기 실험작들에서 부터 올해 아카데미 단편 애니메이션상에 노미네이트 되었던 코델 바커(Cordell Barker)의 ‘Strange Invaders’와 같은 최신작들까지 총 50여 편의 작품들이 있다. 이와 더불어 역대 오타와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 진출•출품한 국내작들을 선별 상영하여 국내 단편 애니메이션의 현주소도 함께 느껴볼 수 있는 시간도 마련되었다.


 노먼 맥라렌의 ‘Neighbours’

특히, 이번 특별전에서는 끝없는 신세계에 대한 탐구 ‘이슈 파텔’이 직접 방한하여 국내 관계자 및 단편애니메이션 작가들과의 만남의 자리가 마련된다.

전시는 NFBC 대표 5인 작가 중심(노먼 맥라렌, 이슈 파텔, 자크 드루엥, 코 회드만, 캐롤라인 리프)으로 펼쳐져 NFBC의 역사와 작가 연람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한편, 서울애니메이션센터는 영국, 멕시코에 이어 국내에서 접하기 힘든 해외의 우수 만화•애니메이션 작품들의 특별전을 계속하여 개최하고 있으며, 향후 국내 작품의 해외전도 의욕적으로 준비하고 있어 앞으로 우리 만화•애니메이션의 활발한 해외진출이 예상된다.

행 사 내 용   

    가. 행사명 : 2002캐나다애니메이션특별전  - NFBC 스페셜

    나. 기  간 : 2002년 9월 13일 ∼ 18일(6일간)

    다. 장  소 : 서울애니메이션센터

    라. 주  최 : 서울산업진흥재단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주한캐나다대사관

    마. 내   용

     NFBC(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캐나다국립영화제작소)

     출신 작가들의 주요 작품 상영, 전시, 감독초청 등

[주요 감독 프로필]

이슈 파텔 (Ishu Patel )

1942, 인도 출생

이슈 파텔은 국제적인 영화감독이자, 애니메이터이자, 교육자이다. 그의 작품들은 저명한 세계 영화제에서 상영된바 있으며, 짧은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TV 배급을 따내기도 하였다. 그의 국제적 수상 경력을 살펴보자면, 2번의 오스카 노미네이트,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수상, 앙시 그랑프리 수상, 몬트리올 국제 영화제 그랑프리 수상과 영국 아카데미상 수상등이다.

이슈 페텔은 1998년부터 남캘리포니아 대학(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의 교수로 재직하며 실험적 애니메이션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현재 캐나다에 애니메이션 연구를 위한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그는 또한 클레이 픽셀(Clay Pixel )스튜디오의 정책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25년간 NFB의 애니메이션 감독이자 연출자로 활동하였으며 새로운 애니메이션의 기법의 개척자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일본 NHK 와 영국의 '채널 4'의 애니메이션 공동 연출자로 활약했으며 캐나다 국영방송(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과는 쎄싸미 스트리트(Sesame Street)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인도출신이며 바로다(Baroda)대학에서 학사를 마치고, 석사는 국립디자인 학교(National Institute of Design)에서 그래픽 디자인, 영화, 사진, 전시 및 디자인을 망라하는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했다.록펠러(Rockefeller Foundation Scholarship)장학금으로 NFB에서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을 공부했다.

이슈 파텔은 가나, 유고슬로비아, 인도, 일본, 미국 그리고 한국등 애니메이션 워크샵을 지도한바 있으며 그의 작품은 영화, 애니메이션 책, 다른 출판물에서 수차례 인용되었다.  

쟈끄 드루앵(Jacques Drouin)

1943, 퀘벡 몽졸리 출생

몬트리올의 Ecole des beaux-arts를 졸업했다. 국립영화원에서의 알렉쎄이에프 파커 핀스크린(Alexeieff-Parker pinscreen) 실험결과는 Trois exercices sur lecran depingles dAlexeieff(1974)로 나타났다. 1976년 핀스크린으로 두 번째 영화 Mindscape를 완성하여, 국제영화제에서 18개의 상을 수상했다. 애니메이션과 사진편집으로 1976-78년까지 동료들의 영화제작에 함께 참여하였다. 그의 야망은 핀스크린에 색상을 더하는 것이었는데, 이것의 예가 1979년 완성된 론 투니(Ron Tunis)의 영화 This is Me 이다.

1980-82년, 그는 체코의 애니메이터인 브레키스라프 포자(Bretislav Pojar)와 프로젝트를 함께하였는데,  국립영화원과 프라하의 크랫키영화사(Kratky Film)와 공동 제작한 Le Refuge는 3차원 애니메이션과 칼라 핀스크린을 결합시킨 작품이었다. 1986년 포자와 그는 또 다른 공동작품 Nightangel을 함께 작업했다. 특수효과와 배경변화를 통한 그의 핀스톤 애니메이션은 포자의 인형에 특이한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1994년 그는 어린이들의 권리에 관한 유엔회의에 기초를 두어 제작된 Ex-Child에서 핀스크린을 사용했으며, 그는 현재 컴퓨터 애니메이션과 핀스크린을 접목시키려는 연구를 하고있다.

코 회드만(Co Hoedeman)

1940, 네델란드 암스텔담 출생

그는 인쇄소의 사진수정가로 일하기 위해 15살의 나이에 학교를 떠나 할렘의 아주 작은 제작 회사인 멸티필름(Multifilm)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곧 시각/특수효과팀으로 배정받은 씨네트룸(Cinecentrum)으로 옮겼다. 암스텔담의 순수예술학교와 헤이그의 사진학교 야간과정을 다녔으며, 모델/상업광고(디자인, 셋트, 편집, 감독)의 복합적인 일을 했다.

그는 1965년 캐나다로 이민 와 국립영화원의 제작보조로 일하게 되었다. 1967-68년, 그는 교육영화 Continental Drift를 제작하였고, 그 시기에 설립된 불어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그가 그의 첫영화로 꼽는 Oddball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주었으며, 곧 Matrioska와 ‘Tchou-Tchou’를 이어서 제작하였다.  

1970년 인형 애니메이션을 공부하며, 체코에서 4개월동안 머물렀다. 돌아와서 이뉴잇전설을 그린 애니메이션 영화시리즈를 제작하였다. 그는 고무, 철사, 모래를 이용하여 만든 특이한 작은 형상으로 재미있는 전설의 인물을 그려낸 The Sand Castle로 1978년 오스카를 수상했다. Masquerade(1985)에서는 흠뻑 적신 종이로 만든 인물을 영화화하였으며, 나이를 들어가는 것과 죽음에 관한 영화 Charles and Francois(1988)에서 페이퍼 컷아웃과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혼합하여 3-D 애니메이션기법을 사용했다. 1992년 물질남용에 관한 교훈적 이야기를 담은 Sniffing Bear를 제작하였다.  그 후, 마찰이 어떻게 자연의 음향시스템이 갖고있는 균형을 깰 수 있는가를 설명한 생태학이야기 The Garden of Ecos를 1997년에 제작하였다.

1998-99년, 그는 보는 이를 어린시절의 마법의 세계로 이끄는 곰인형 루도빅(Ludovic)을 등장시킨 아름다운 두 아이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Ludovic-The Snow Gift 와 Ludovic: A Crocodile in My Garden을 감독하였다.

캐롤린 리프(Caroline Leaf)

1946, 씨애틀 출생

하버드대학의 부속 대학인 래드 클리프에서 시각미술을 공부했다. 1969년 모래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작업을 시도하기 까지 애니메이션의 작업 수단에 회의를 느꼈지만, 맥라렌이 강의에 왔을 때 그는 그녀의 이 기법에 대해 놀라움을 나타냈다.  그 해가 가지전, 그녀는 그녀의 첫 영화 Sand or Peter and the Wolf를 애니메이션화했다. 다음 작 Orfeo(1972)에서, 그녀는 유리에 직접 그림을 그리는 것을 카메라에 실험하였으며,  How Beaver Stole Fire를 제작하였다.

머지않아,  이뉴잇전에 감명 받은 그녀는 북극으로 떠났고, 1974년에 돌아와, 유리위에 모래를 애니메이팅한 기법을 다시 사용하여 The Owl Who Married a Goose: An Eskimo Legend를 만들었다. NFB 의 French Animation Studio에서 제작한 이 영화는 11개의 상을 받기도 하였다. 그녀의 그 다음 두 영화 The Street (1976)와 The Metamorphosis of Mr. Samsa (1977)는 국제적으로 많은 갈채를 받았다.

1986년 약10년 정도의 공백 후, 그녀는 중국과 멕시코 전설에 영감을 얻은 두 편의 영화를 제작하면서 애니메이션으로 다시 돌아왔다.  70mm 칼라필름을 사용하고 35mm위에 재슈팅 하면서 스크태칭 기법을 새롭게 개발했다. 그렇게 만들어진 Two Sisters (1990)는 프랑스 아네씨의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최우수 단편 영화상을 수상함으로써 그녀의 국제적 명성을 되찾게 되었다.

노먼 맥라렌(Norman McLaren)

1914. 4.11. 스코트랜드 스털링 출생  1987.1.26. 캐나다 몬트리올 사망

1932년 글래스고우 순수예술학교에 입학하여 세트디자인을 전공하고자 하였으나,  글래스고우 영화모임에 가입하면서 Eisenstein, Pudovkin, Fischinger의 대작을 통하여 영화를 접하게 되었다.  

그는 1934년 영화제작의 길을 걷기 시작했고, 다음해 그의 두 영화가 존 그리어슨(John Grierson)이 심사 위원이었던 스코트랜드 아마츄어 영화제에서 상을 타게 되었고, 젊은 영화제작인의 재능을 높이 평가한 그리어슨은 런던의 체신성의 영화부에서 일할 것을 제안한다. 1941년 캐나다의 첫 정부 영화위원인 존 그리어슨의 초청으로 국립영화원에서 일하게 되었다.

국립영화원에서 만든 그의 초창기 영화들은 전쟁 홍보물이었으나 59편의 실험적 애니메이션 영화를 만들었고, 또한 이중 3편의 영화에서 춤과 무용수을 사용하여 새롭게 실험했다. 기술 지원팀의 동료들은 그가 이러한 실험을 계속할 수 있도록 그를 위해 카메라와 프로젝터 시스템을 특별 제작하여 주었다.  1951년 두 편의 3D 영화 Around Is Around와 Now Is The Time를 만들었다.

영화 그 자체에 스크래치와 색상을 입힌 Begone Dull Care(1949), 단순히 의자만을 사용한 A Chairy Tale(1957), 1945-1958년까지의 시리즈 물인 Chants Popularies Series에서는 상징적인 예술을, 1952년 Neighbours, 1964년Canon에서 특수 효과와 애니메이션, 살아있는 배우들을 혼합해 영화를 만들었다.

그는 영화에 그림과 조각으로 소리를 만드는 것에 관심이 있었다.  3-D시도 외에도, 복합적 시각 프린팅 과정(complex optical printing process) 이 주는 가능성에 대하여도 연구했다.

그에 관한 작품으로는 BBC와 국립영화원이 1970년 공동 제작한 The Eye Hears, 1983년 국립영화원이 제작한 Holland Animation, 1990년 도날드 맥윌리엄스(Donald McWilliams)가 그에게 바친 영화 Creative Process, 그의 실험적 미완성작, 그리고 발표되지 않은 작품들의 인터뷰와 자료들과 그의 수상 영화들을 발췌 인용한 Norman McLaren이 있다.

 
스튜디오 연결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