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landlogo First Page
고객센터   
gallery media job community contentsmall  
  dbrush Blizzardfest 2014
 
[게임]한국게임산업 개발원 2003년 추진계획   2003-01-18
한국게임산업 개발원은 국내 게임산업 활성화를 위한 2003년도 추진 계획을 발표 하였습니다.
오현택기자 hyuntaek@cgland.com
ⓒ 디지털브러시 & cgland.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1. 2003년 중점추진방향

Game Korea의 글로벌화 : 온라인ㆍ모바일 게임 부문의 세계1위 달성
 ㅇ 세계적인 규모의 게임전시회 및 컨퍼런스 국내 개최
 ㅇ 전략시장인 중국의 거점 확보를 위한 현지법인 설립
 ㅇ WCG 행사를 통한 국산게임의 해외 진출 기회 확대

게임산업 지식정보기반 및 온라인 사업지원시스템 구축
 ㅇ 국내외 게임시장 동향, 업체 정보 등을 DB화하여 게임산업 KMS 구축
  * KMS : Knowledge Management System
 ㅇ 업계 Community 활동을 지원하여 게임 현장의 의견 적극 수렴
 ㅇ 지원사업 관련 전 업무를 온라인으로 처리, 투명성ㆍ공정성 확보

게임창작 활성화 지원 및 투ㆍ융자 사업의 대폭적인 확대
 ㅇ 투자조합, 창투사, 금융권을 중심으로 투자설명회 정례화(분기별 1회)
 ㅇ 우수게임사전제작 지원규모 대폭 확대
     - 대상 : 5천만원→1억원, 우수상 : 3천만원→5천만원
 ㅇ 대한민국 게임대상을 “대통령상”으로 격상하여 산업적 위상 제고
 ㅇ Crocess.com 운영 활성화를 통하여 게임 인큐베이팅 확대
     - Green게임 존, 에듀게임 존 등 신규시장을 창출하는 게임 집중 지원

게임산업 관련 정책 연구 강화로 업계의 수요 정보 적시 제공
 ㅇ 게임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게임포럼”을 정기적으로 개최
 ㅇ 국내 게임 신규시장 동향 보고서, 미래의 게임과 문화 등 산업의 중장기 전망과 마케팅 전략 제시

게임문화진흥사업의 확대 추진 : 게임에 대한 문화적 인식 제고
 ㅇ 업계 및 교육기관 등과 연계하여 “게임 체험 학습프로그램” 운영
 ㅇ 지자체, 사회단체 등과 연계하여 일반인 대상 “게임문화교실” 운영
 ㅇ 게임문화 홍보 자료 및 교재의 제작ㆍ보급 등 게임문화캠페인 상시 전개

아케이드 게임 신유통 조성사업 : 첨단 아케이드 게임장(G2ZONE) 확산
 ㅇ 용인 에버랜드에 첨단 아케이드 게임장(G2ZONE) 운영
     - 일반인을 대상으로 국산 첨단 아케이드 게임 전시 및 인컴 테스트
 ㅇ 민자유치를 통하여 기능성 게임을 포함한 G2ZONE 체인화 등 신규시장 개척

차기 게임시장을 주도할 핵심 응용기술 연구 개발
 ㅇ 게임 제작 프로세스 지원도구, 게임 S/W 품질평가시스템 등 개발
 ㅇ 이기종 게임간 연동 서비스를 위한 통합플랫폼 개발

전문교재 개발ㆍ보급 및 원격교육 본격 시행으로 게임교육 저변 확대
 ㅇ 게임교재개발위원회를 구성하여 게임 관련 전문교재 개발ㆍ보급
 ㅇ 게임 원격교육의 본격 시행으로 게임산업 종사자 재교육 및 신규 개발자를 위한 열린 교육과
     평생 교육 실현(2002년 시범서비스 운영)

2. 2003년 주요 추진사업

 가. 국산게임의 세계화 지원

 ㅇ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
     - 세계 4대 게임전시회(E3, ECTS, TGS, IAAPA)에 한국공동관 운영, 국산게임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
       및 인력ㆍ정보 교류 기회 제공
     - 2002년 대비 부스 규모 확대 및 공동관 고급화로 이미지 개선
 ㅇ 공격적인 해외 마케팅 지원
     - 해외 마케팅 전문대행사 및 현지 게임 관련 업체ㆍ기관 등과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여 실시간 정보
       획득 및 공동사업 추진
     - 중화권 : 게임시장 Weekly 발간 및 법률서비스 제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현지 시나리오 공모
       및 베타서비스 확대
     - 미주지역 : 현지 전문 마케팅대행사를 선정 국산게임 진출 지원
     - 유럽권 : 현지 바이어(NOKIA 등)를 대상으로 국산 모바일게임 마케팅 세미나 및 쇼케이스 개최
     - 일본권 : 현지 퍼블리셔(Sunsoft 등)를 대상으로 국산 온라인ㆍPC게임 쇼케이스를 정기적으로
        개최(연 2회)
     - 영국 및 캐나다 등 게임 콘텐츠 선진국과 세미나, 교류회 등을 개최하여 공동사업 발굴 및
       정보 교류
 ㅇ 전략시장인 중화권에서 국산게임의 주도권 확보
     - 제3차 한중게임교류회 및 제2차 중화권(대만/홍콩) 투자설명회 등을 정례화하여 중화권 시장에서의
       주도권 확보 및 투자 유치
 ㅇ 국산게임의 현지(중국/일본) 베타테스트 환경 구축 및 현지어 버전 제작 지원 등 현지 적응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
 ㅇ WCG와 연계한 국제게임전시회 또는 게임컨퍼런스를 개최하여 게임강국으로서의 “Game Korea”
     이미지 강화

 나. 게임창작 활성화 지원

 ㅇ 게임전문투자조합 운영의 효율성을 높여 적극적인 투자 전개
     - 투자조합, 창투사, 금융권 등 주요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게임투자설명회를 정례화(분기별 1회)하여
       투자 활성화 유도

 ㅇ 우수게임사전제작 지원 규모 대폭 증대
     - 사업예산을 2002년 8억원에서 2003년 15억원으로 대폭 증대, 편당 지원금액도 대상 5천만원 →
       1억원, 우수상 3천만원 → 5천만원으로 늘임으로써 창작 의욕 고취

 ㅇ 대한민국 게임대상을 국제적인 게임 Awards로서 위상 강화
     - 대상의 훈격을 “대통령상”으로 격상하고 공중파 중계 추진
     - “게임인의 날”과 병행 추진함으로써 게임인 축제의 장으로 발전

 ㅇ Crocess.com의 운영 활성화를 통한 게임 인큐베이팅 확대
     - KGDA(게임개발자협회), 프로게이머, 게임 매니아 등으로 구성된 전문평가단을 운영하여 20편
       이상의 게임 인큐베이팅

 다. 게임문화진흥사업

 ㅇ 업계 및 교육기관 등과 연계하여 “게임 체험 학습프로그램” 운영
 ㅇ 학부모와 청소년이 함께 하는 “가족 게임캠프” 개최(연 2회)
     - 게임체험, 게임의 올바른 이용방법, 게임의 산업적 가치 등 소개

 ㅇ 지자체 및 사회단체 등과 연계한 “게임문화교실” 등 교육프로그램 운영, 게임문화 홍보 팜플렛
     배포 등 게임문화진흥캠페인 전개

 ㅇ 민간 게임중독 치료기관과 공동으로 게임중독 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중독치료캠프 운영(연2회)

 라. 게임산업 정책개발

 ㅇ 게임관련 정책, 법ㆍ제도, 산업동향 등 게임산업의 최신 이슈에 대한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는 “게임포럼” 운영

 ㅇ 대한민국 게임백서 발간
     - 업체 및 소비자 동향, 분야별 게임산업 동향 등 국내 게임산업 정보의 총체인 대한민국 게임백서
       발간(2003. 5월 예정)
     - 영문백서를 동시 발간하여 해외 유관기관 및 현지 퍼블리셔들을 대상으로 홍보자료로 배포

 ㅇ 웹진 게임산업저널 운영
     - 게임에 대한 학술논문, 국내외 게임산업 최신 동향, 게임개발기 등 게임 기획 및 제작에 필요한
       심도있는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

 ㅇ “미래의 게임과 문화”, “국산게임의 세계화를 위한 현지 문화 이해” 등 정책 연구를 통하여
      게임업계에 장기적인 비전과 전망 제시

 마. 게임기술연구개발 지원

 ㅇ 범용 3D 게임엔진의 성능 개선 및 보급 확대, 게임제작 프로세스 표준화 및 지원도구 개발, 게임
     S/W 품질평가시스템 개발 등 응용기술의 확보 및 산업체 기술이전을 통하여 경쟁력 강화

 ㅇ 게임기술세미나 및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국내 게임개발자들의 개발능력 향상에 기여(연 4회)

 ㅇ 차세대 게임산업을 선도할 유ㆍ무선 통합용 게임의 구현으로 국내 게임산업의 활성화 기반 마련
     - 세계적 게임기술 추세인 이기종 게임 플랫폼간의 통합 연동 서비스를 위한 통합플랫폼 개발로
       One Source Multi-Use 실현

 바. 게임전문인력 양성

 ㅇ 고급 게임개발인력 양성을 위한 정규과정 운영 및 기존 게임개발자의 능력향상과 청소년 실업자를
      위한 특수과정 운영
     - 정규과정 : 제 2~4기 과정 운영(2003. 7월 제2기 과정 졸업)
     - 특수과정 : 게임프로그래밍, 게임그패픽 등의 분야에서 연간 240여명의 인력 양성

 ㅇ 게임 관련 교육콘텐츠의 개발ㆍ보급을 통하여 국내 게임인력 양성 활성화에 기여
     (번역 교재 포함 11종 발간)
     - 게임교육 전문가로 구성된 교재개발위원회를 구성ㆍ운영하여 양질의 게임교재 개발

 사. 게임산업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구축

 ㅇ 국내외 게임시장 동향, 기술동향 및 각종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 DB화하여 업계 및 관련 기관에
     신속ㆍ정확하게 제공
     - 게임 관련 전문가들에게 분야별 Community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생생한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는 기반 제공
     - 게임 개발 및 경영전략의 기초자료가 되는 국내외 게임 관련 동향 및 통계 자료를 정기적으로 제공

 ㅇ 개발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각종 사업과 관련된 접수, 결과 확인 등을 인터넷상에서 처리함으로써
     업계의 편의성 도모
     - 게임전문투자조합, 우수게임사전제작지원, 해외전시회 참가 등 

해외전시사업


E3
ECTS
TGS

 
스튜디오 연결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