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3월 12일 REALVIZ 社에서 벤 애플릭(Ben Affleck)이 주연한 20세기 폭스사의 최근 액션 화제작 "데어데블(DareDevil)"의
이펙트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Pixel Magic이 비주얼 이펙트(visual effects) 장면을 완성하기 위해 사용한
소프트웨어는 REALVIZ 社에서 개발한 오토매틱 트랙킹 소프트웨어(automatic tracking
software)인 MatchMover Professional를 사용하였다는 발표가 있었다. 2003년 2월 14일 영화가 개봉된
이후 오랫 동안 미국 박스 오피스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었던 이 영화는 현재 유럽,
아시아, 남미 등의 나라에서 2003년 3월에서 4월쯤 개봉될 예정이다.
Pixel
Magic은 REALVIZ 社의 MatchMover Professional를 사용하여 영화 속 캐릭터들의 공중
곡예와 같은 장면 연출과 빠른 진행 스타일의 영화 장면들을 실생활의 요소들과 CG를 자연스럽게 결합하여 연출하였다. 영화
"데어 데블(DareDevil)"은 1964년에 출판되었던 "Marvel(불가사의한 일)"이라는 제목의 만화 캐릭터를
기초로 영화가 제작되었다. 이 영화는 밴 에플렉(Ben Afflect)이 열연한 매튜 머독(Matthew Murdock)이라는 권투선수의
아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매튜 머독은 어느날 트럭에 치는 사고를 당하게 된다. 이
사고로 그는 방사성 동위 원소에 의해서 시력을 잃게 된다. 하지만 매튜는 뛰어난 청각, 촉각, 미각, 후각을 가지게 되었고, 이
뿐만 아니라 부족한
시력을 보충할 수 있는 맨탈 레이더(mental radar)를 가지게 된다. 머독은 태권도와
합기도 등의 마셜 아트(martial arts)
트레이닝을 받았고, 법대를 뛰어난 성적으로 졸업한 후 낮에는 변호사로 일하면서 밤에는 '두려움을 모르는 사람' 이라는 뜻의 데어 데블로 활동하게 된다. 데어 데블의
적은
폭도들의 보스인 킹핀(Kingpin)과 악당 불스아이(Bullseye)이고, 머독이 사랑을 느끼고 있는
여인인 엘렉트라(Elektra)도 킹핀의 거짓말로 인해 데어 데블과 맞서게 된다.
Pixel Maigc은 액션 어드벤처 영화의 특징을 살리기 위해 125개 이상의 비주얼
이펙트 장면을 제작하였다. 영화 작업 중 "교회(Church)" 장면과
"슈리켄(Shuriken)"장면, "건물 위의 데어 데빌" 장면등은 CG
작업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장면들이다.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영화 속 캐릭터들의 공중
곡예와 같은 장면 연출과 영화의 빠른 진행 스타일로 인해 대부분의 모든 장면들은
리깅 작업을 거쳤고, 연기자들에게 장착된 와이어를 제거하는 작업들을 통하여 탄생되었다. 이러한
영화속의 모든 비주얼 이펙트
장면은 Pixel Magic에 의해 4개월에 걸쳐 제작되었다.
영화속의 교회 장면에서 VFX 감독 Rich Thorne은 데어 데블과 불스아이와의 다이나믹한
격투 장면을 위해 300 피트 높이의 벽과 대형 파이프 오르간을 가지고 있는 교회를
찾으려 했다. 하지만 영화 속 장면에 어울릴 만한 교회를 찾을 수 없어, Pixel Magic은
그린 스크린 셋트와 매치 시켜 크고 복잡한 형태의 파이프 오르간을 가지고 있는
대형 교회 인테리어를 CG 작업으로 완성하였다. Pixel Magic의 3D 제작부는 300 피트
높이의 천장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서 레이더 스캔(Lidar scan)의 입체도형(Geometry)을 수정하였고,
교회 인테리어에 알맞는 필요한 부분들을 더 첨가 하였다. 비주얼 세트의 빛(Lighting)은 실제 교회 인테리어의
마스터 클립(Master Clip)과 합성하여 만들어 졌고, REALVIZ 社의 MatchMover Professional을
사용하여 카메라 움직임을 추적하였다. 이런 작업들이 끝나고 3D팀은 파이프 오르간과
교회 바닥을 포함하는 장면을 완성할 수 있었다. 만약 이러한 요소들 중에 하나라도
이 장면에 없었다면 교회의 입체도형과 텍스쳐(Texture)들은 긴 렌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삭제 되었을
것이다. 각각의 요소들은 빛의 발산과 반사광과 같은 부분들이 더 세분화 되어 작업 되었다. 또한 파이프와 나무 구조물,
샹들리에와 촛불과 같은 각각의 요소들은 매츠(mattes) 작업에 의해 제작되었다.
또한 영화 속 장면들의 깊이와 조명의 표현은 이외의 다른 아이템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위의 모든 CG
작업으로 완성된 교회와 그린 스크린에서 연기한 연기자를 합성 할 때 텍스처(Textures),
빛(Lighting) 그리고 깊이(Depth)들을 첨가하여 원하는 장면을 연출할 수 있었다.

슈리켄 장면에서 불스아이가 모터사이트 위에 서있고, 그의 손가락
사이에 박혀 있는 빛나는 금속표창을 던지는 장면이 있다. 이 금속표창이 던져질
때 그것이 불스아이의 손가락 사이에 정말로 끼워져 있었던 것은 아니였다. 이렇게
금속표창이 던져지는 장면도
연기자가 연기한 장면이 아니다. 단지 불스아이는 그의 손을 약간 과장함으로써 이 장면을
연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 장면들을 위해서도 또한 MatchMover Professional
프로그램이 사용되었고, 불스아이의 손과 손가락의 움직임에 CG 작업을 첨가하기
위해서 로토스코핑(Rotoscoping)과 트랙킹(Tracking)기법이 사용되었다. 이 장면을
위해서 2D 팀은 트랙킹 기법을 위해서 매치 무브 테크닉 (match move techniques)을
사용하였고, 로토스코핑
작업을 위해서는 커모션(Commotion)을 사용하였다. Lightwave로 만들어진 객체는 실제처럼
만들어진 3D 공간에 객체의 방향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작업이 첨가 되어 이펙트를 준 다음에 삽입되었다. 이러한
작업들과 마지막으로 빛의 컨트롤과 슈리켄의 금속제 표면 텍스처를 합성하여 또
하나의 완성된 장면을 얻을 수 있었다.

영화 장면 중 데어 데빌이 높은 층의 건물위에서 물구나무 서기 하는 장면이
있다. 이 장면은 실제로 촬영될 수 없는 장면이었다. 이런 이유로 Pixel Magic은
와이어에 매달려 물구나무 서기를 하고 있는 데어데블을 그린
스크린 상에서 먼저 촬영을 하였다. 마야(Maya)를 사용하여 카메라 이동 트래킹(tracking)을
작업한 후, 버추얼 카메라 데이터는 Lightwave에 의해 작업되었다. 또한 제공되는
빌딩의 거리,
도시의 길들, 지나다니는 자동차 사진들이 버추얼 카메라 이동에 추가되어 스크린에
담아졌다. Pixel Magic은 CG작업을 통해 빌딩과 날아다니는 새들을 만들어 냈다.
연기자가 매달려 있는 와이어와 리깅는 무수히 많은 트랙킹 마커 작업에 의해 지워졌다.
CG 작업으로 제작된 빌딩, 새들, 걸어다니는 사람들, 도로를 질주하고 있는 자동차들,
연기와 먼지 그리고 하늘과 같은 대체물들은 모두 영화의 리얼리즘을 살리기 위해서
영화 장면들과 잘 조합되었다.
세부 정보 제공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