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landlogo First Page
고객센터   
gallery media job community contentsmall  
  dbrush Blizzardfest 2014
 
[애니/툰]애니메이터 실태분석 결과   2005-01-10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원장 서병문)은 7일 지난해 10월부터 2개월간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애니메이터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씨지랜드기자 cgland@cgland.com
ⓒ 디지털브러시 & cgland.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애니메이터 실태분석 결과"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원장 서병문)은 7일 지난해 10월부터 2개월간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애니메이터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에 대해 실시한 최초의 실태조사로 애니메이터의 직무특성, 직무경력, 교육 및 훈련과정, 인력수요, 근로조건, 직무만족도 등에 대한 항목이 조사됐다.

근무환경 열악해도 '애니메이션이 좋아'
국내 애니메이터들은 열악한 근무환경에도 불구하고 업무만족도와 열정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근무환경, 근무시간, 임금 등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2점대로 낮게 나타났으나, 업무내용에 대해서는 3.15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일하게 된 동기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43.8%가 ‘애니메이션에 대한 열정’ 때문이라고 밝혀 주목을 끌었다.



애니메이터의 고용형태는 고용계약을 맺지 않은 프리랜서가 47%로 절반에 가까웠고, 정규직은 24.3%, 임시직이 20.5%로 나타났다.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58.3시간으로 한국인의 평균 근로시간인 45.9시간(2004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보다 1.3배 길었고, 그중에서도 동화애니메이터는 주당 65.4시간으로 1.4배를 넘어섰다.

월평균 보수는 163.9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경력의 애니메이터의 보수 수준에 해당하고, 한국인 월평균 보수인 203만 8,000원에 약 81%에 해당하는 열악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애니메이터에 따라서는 보수가 60만원에서 260만원까지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기획인력 가장 부족 지적
한편 애니메이터의 직무별 수급현황 중 기획인력의 부족을 지적한 답변이 78.7%(매우 부족 44.6%, 부족 34.1%)로 가장 많았다. 이에 비해 원화, 동화, 배경 및 미술 인력의 수급은 상대적으로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임학순 정책개발팀장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볼 때 앞으로 애니메이션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애니메이터가 전문 직종으로 뿌리 내릴 수 있는 환경을 창출해야 하며, 특히 창의적 기획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정책기반을 갖추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출처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윤현옥 기자(news@kocca.or.kr)

 
스튜디오 연결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