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ias|Wavefront Korea는 최근 떠돌고 있는 자사 관련 소문에 관한 입장을 명확하게
표명하기 위하여 지난 15일 COEX 인터컨티넨탈 회의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Alex Kelley Asia/Pacific 지역 대표, 이미영 한국 지사장 그리고
유선영 마케팅 책임자가 Alias|Wavefront측의 입장을 설명하기 위해 참가했으며,
국내 기자들이 Alias|Wavefront측의 입장을 듣기 위해 참석했다.
기자들의 질문에 관해서는 Alex Kelley 대표가 직접 답하였으며, 부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이미영 지사장이 설명을 더했다. 다음은 기자들의 질문에
대한 Alex Kelley 대표의 답변을 요약한 것이다.
Alias|Wavefront 매각설에 관한 입장과 현재 현황
|
Alex Kelley Asia/Pacific 지역 대표
|
지난 수요일 북미 지역에서 구조조정이 시작됐습니다. 이번 구조조정에 있어 가장
주요한 사건은 북미에 위치한 Santa Barbara와 Seattle의 R&D 센터를
폐쇄하고 캐나다 Toronto에 위치한 R&D 센터로 병합하는 일이었습니다.
이번 구조조정은 단순한 일방 해고가 아닙니다. Alias|Wavefront는 구조조정 정책에
따라서 근무자들에게 Toronto로 이주하는 것을 권유했으며, 대부분 개발자들은 Toronto로의
이주를 결정했습니다.
캐나다는 미국보다 사업비용이 적게 듭니다. 비단 소프트웨어 업계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Economist는 영화 산업의
예를 들며, 미국에서의 영화 촬영보다 캐나다에서의 영화 촬영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구조조정 시기와 프로모션 시행 시기가 일치하여 일각에서는 Alias|Wavefront가
매각을 위한 수순을 밟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지만, 구조조정과
이번 프로모션은 별개 입니다. Alias|Wavefront의 수익율을 최대로 올린 후
매각하기 위한 것이 이번 프로모션의 목적이라면 프로모션 기간이 더욱 길었을 겁니다.
이번 프로모션은 기업들에게 정말 대단한 기회입니다. 20개의 패키지를 구입할
수 있는 가격에 40개의 패키지를 구입할 수 있으니까요. 10년 동안 근무하면서 제가
지켜본 프로모션 중 가장 대단한 프로모션이라고 생각합니다.
핵심 개발자의 이직과 공동 창업자 마크 실베스터의 사직
이번에 Apple로 이직한 사람 리차드 케리스 라는 인물로 그는 개발자가 아닙니다.
Product Manager로써
마야를 NT 플랫폼 에서 OS X 플랫폼으로 포팅시키는 작업에 참여했었습니다. 그의
주요 업무는 플러그인 개발사나 기타 협력 관계에 있는 회사들과 관계를 관리하는
업무였습니다. 핵심 멤버이긴 했지만 연구 개발이 주요 업무가 아니었기 때문에 리차드
케리스의 이직이 Alias|Wavefront의 향후 계획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없습니다. 현재
리차드 케리스는 Apple의 대외협력 업무 책임자로 일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Alias|Wavefront로서는
Apple과 더욱 긴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리차드 케리스는 최근 Alias|Wavefront와 맥 유저들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맥 유저들이 Maya
맥 버전을 iDisk(http://www.Apple.com/itools/)에서 바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업무를 추진했습니다. 덕분에 Alias|Wavefront는 접근할 수 있는 계층이 두 분야로
확장됐습니다. 리차드 케리스의 이직으로 Alias|Wavefront의
계획에 차질이 생기는 건 아닙니다. 그의 이직은 오히려 Alias|Wavefront와 Apple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Mark Sylvester Alias|Wavefront 공동 설립자
|
마크 실베스터가 사직한 건 사실입니다. 공식적으로 그는 Santa Barbara의 R&D센터
폐쇄가 사직 이유라고 밝혔습니다만, 그의 진정한 사직 이유는 아마 마크 실베스터
본인만 알겁니다.
이번 구조조정으로 새로운 제품 개발 및 발표에 차질이 생기는 건 아닙니다
이번 북미지역 R&D 센터 폐쇄가 Alias와 Wavefront 사이의 파워 게임에 의한
결과라는 의혹도 있지만, 이 또한 근거 없는 헛소문입니다. 구조조정 계획에는 많은
책임자들이 관여했습니다. 모든 직원들에게 일일이 물어볼 수는 없었지만, 많은 담당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내린 결론입니다.
북미지역 직원들의 캐나다행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오늘 당장 통보하고 결정
내리라고 할 수 는 없지 않습니까? 시간 여유를 충분히 주었기 때문에 얼마나 많은
인원이 Toronto행을 결정했는지 정확한 대답은 드릴 수 없습니다. 하지만 Alias|Wavefront의
사내 문화와 Toronto의 아름다운 경치를 생각하면 대부분의 직원들이 캐나다행을
선택하리라 생각됩니다. Toronto는 정말 아름다운 도시입니다.
SGI와 Alias|Wavefront의 관계

우선 SGI와AW의 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Alias|Wavefront와 SGI는
완전히 별개의 기업 입니다. SGI는 단지 모회사 일 뿐이고. Alias|Wavefront는 SGI의
하나의 사업체일 뿐입니다. SGI가 Alias|Wavefront에 큰 도움을 주는 건 사실이지만,
SGI와 Alias|Wavefront는 별개의 조직입니다. Alias|Wavefront는 SGI의 핵심 사업부 중 일부가
아닙니다. 사업에 대한 간섭은 있을 수 없습니다. 오히려 SGI는 회사 방향에 관해
많은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SGI는 Alias|Wavefront의 R&D 비용을 더 이상 책임지지 않습니다. Alias|Wavefront는
스스로 R&D비용을 책임집니다. 스스로 수익을 창출하며 그 중 일부를 개발 비용으로
사용합니다.
Alias|Wavefront를 매각하여 SGI의 재정을 개선하려 한다는 시나리오를 가정하는
시각도 있지만, SGI의 재정상태는 점점 개선되고 있습니다. 시장이 SGI의 상황이
개선 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바로 어제, 14일 지난 52주 동안 SGI의
주가는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SGI가 군수 산업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어 SGI의 주가 상승이 최근 미국 정부의
군수산업 부양 분위기와 무관하다고 말할 순 없지만, 현재 SGI의 위치는 구조조정과
같은 자구책을 통해 SGI 스스로 이룩한 자리 입니다. SGI도 지난 1년 동안 구조조정의
기간을 거쳤습니다.
Maya에 관하여
한국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의견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동일한 소프트웨어에 대해 지역마다 가격차이가 존재하는 이유는 소프트웨어사가
실시하는 지역화 정책 및 사업비용 등 때문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비단 Alias|Wavefront의
제품에서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산업 전체 제품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결정되는 가격은 국제가로서 미국에서 팔리는 가격보다 20%정도 비쌉니다.
여기에는 관세 및 유지보수 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국은 아직도 무상 지원을
바라는 풍토가 강하기 때문에 번들에 그 비용을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제품보다 캐나다 제품의 관세율이 높은 점도 가격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입니다.
지금 이 자리에서 Maya 차기 버전 출시에 관한 답을 드릴 수 없지만, 2002 NAB에서
관련 정보를 접할 수 있을 겁니다.
이번에 공개한 Maya Personal Learning Edition의 Watermark에 대한 유저들의
불만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Maya PLE의 목적은 작품 제작이 아닌 말 그대로 Maya를
체험해보는데 있다는 것을 유저분들께서 이해해주셨으면 합니다.
아시아지역 시장의 전망
아시아 시장은 매년 성장해나가고 있습니다. 매년 18%씩 성장하고 있으며,
전망도 매우 좋습니다. 일본에서의 수익은 매년 26%씩 늘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전망도
매우 좋습니다. 한국에서는 작년에 20% 성장율을 기록했습니다. Alias|Wavefront 아시아
지역 책임자로서 한국은 투자할만한 가치가 충분한 시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올해 Alias|Wavefront는 역량을 게임 시장에 집중할 예정입니다. 작년의
20% 성장은 자동차 시장에서 이룬 수익이지만, 이제는 게임 분야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마야는 퀄리티는 좋지만 고가라서 도외시하는 경향이 있어왔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PS/2
쪽을 시점으로 해서 게임시장에 매진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