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부는 대통령 주재 교육인적자원 분야 장관회의에서 "창의적인 문화산업
전문인력 양성 방안"을 발표하였다. 즉,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전문 인력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예산을
사용하겠다는 논리다.
다음은 문화관광부 발표문의 전문이다.
문화산업 전문인력의 대폭적인 확충 및 전문성 증진 방안
(2002.12.24)
- 수요증가에 따라 2005년 약 39,400명의 부족인력 공급확대 -
문화관광부는 대통령 주재
교육인적자원분야 장관회의(12월 24일, 15:30)에서 향후 인력양성정책의 근간이 될 ‘창의적인 문화산업 전문인력 양성
방안’을 발표하였다.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도의 전문인력 확보가 최우선적인 과제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현재 문화산업부문 종사자는 약
16만4천명으로 매년 약 11%가 증가하여 2005년에는 22만3천명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게임·애니메이션 등 새로 부상하는 산업영역에서는
2005년까지 약 3만9천명의 인력부족이 전망되고 있다.
문화관광부는 수급 불균형이 상대적으로
덜한 방송·영화 등은 인력의 질적 수준향상에 초점을 두고 게임·애니메이션 등에 대해서는 대폭적인 인력공급과 함께 교육훈련의 질적 향상을 동시에
추진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한 정책적 기본방향을
‘기획자·PD·Storyteller·마케터 등 창의적인 전문인력 육성’, ‘민간지원 확대를 통한 경쟁체제 확립’, ‘기존인력의 고급화 및 해외
우수인력과의 연계활동 강화’ 등 3가지로 정하고 이에 따른 세부 추진계획을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이론중심의 대학
교육과정을 제작·실무중심으로 개편하고, 영화·애니메이션, 게임, 방송영상, 콘텐츠 등 전략 분야별 공공아카데미를 확대·개선하여 일반교양 수준을
뛰어 넘는 최고의 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것이다.
또한 ‘문화산업 특성화 학과
교육장비·프로그램지원 사업’을 산학연 협력체계로 운영하고 지원사업이 문화산업 연구개발센터(CRC)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며 동 사업이
단순 장비지원에 그치지 않고 가상현실, 디지털영상·음향 등 고급 응용기술을 개발하면서 동시에 교수요원 등 고급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연계사업으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문화산업의 특징인 많은 중소기업
종사자와 프리랜서가 시간적·장소적 제약 없이 양질의 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교육시스템을 '03년부터 운영하고, 교육내용도 게임,
콘텐츠, 방송영상 등 분야별 성공사례를 Case Study형식으로 DB화하여 산업현장에 제공하는 등 실용적인 교육에 중점 두고
있다.
그밖에 문화산업 해외진출 강화를 위해
‘해외 연수교육 및 교류 확대를 통한 국제적 인재양성’사업을 확대·추진하고, 대학 예술관련 학과 등 전문예술교육기관의 실용교육 강화 및 순수
문화예술 창작자와의 교류 협력도 확대하여 ‘문화예술과 문화산업의 Win-Win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제시하였다.
(출처:문화관광부)
|
발표문은 방송 및 영화 분야는 인력 수급 불균형이 덜한반면, 게임 및 애니메이션
분야는 2005년에 대폭적인 인력 공급이 필요할 것이며 이에 대응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문화관광부의 추진계획은 게임 및 애니메이션 분야의 인력이 부족한 원인을
무시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궁여지책으로 생각된다.
과연 지금 게임 및 애니메이션 분야의 인력이 부족한 것일까? 문화관광부는 게임
및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2005년 까지 필요 인력이 약 4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게임 및 애니메이션 제작사들은 가능하면 몸집을 줄이고
줄여 최소의 비용으로 사업을 유지하려 하고있다. 물론 NC Soft, Nexon, HanGame
등 이미 시장에서 입지를 굳힌 업체들은 대규모 인력 추원을 실시하고 있지만, 다른
군소 업체들은 현재 고용 인력에 대한 처우도 제대로 못 해주고 있는 상태다.
대규모 인력을 공급하기전에 우선 현존하는 제작사들의 숨통을 열어줄 수 있는 정책을
실시해야 옳은 것 아닐까? 현재 산업에서 활동하는 "현역들"이 어려움속에서
산업을 이끌고 있는데, 여기에 대거 신규인력을 공급한다면 악순환의 고리는 계속될
것이다.
인력 고용 시장도 시장의 논리에 따른다. 성장
가능성이 있는 산업은 많은 인력들이 향하며, 반대로 하향세를 보이는 산업은 현존 인력
마저 다른 산업으로 이탈한다. 2005년 이라는
3년 뒤의 시점을 바라보며 제시된 계획이지만, 우선 그에 해당하는 인력을 산업이
요구하도록 산업 활성화 지원 정책에 정부의 역량이 집중되어야 하지 않을까? 중구난방식으로
낭비되는 세금은 오히려 우리 산업의 경쟁력만 악화시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