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landlogo First Page
고객센터   
gallery media job community contentsmall  
  dbrush Blizzardfest 2014
 
[탐방]올 여름 블록버스터에도 오토데스크   2006-07-24
캐러비안의 해적, 엑스맨 등에 사용돼... 장엄한 시각효과로 환상적인 장면 제공
엄현정기자 clonel@cgland.com
ⓒ 디지털브러시 & cgland.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올 봄부터 여름까지 극장가를 강타하고 있는 헐리우드 블록버스터에 오토데스크(나스닥: ADSK) 의 솔루션들이 공통으로 사용되어 화제다. 업계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포스트 프로덕션들은『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의 바다 괴물에서부터『미션 임파서블 III』의 상해 풍경까지 오토데스크의 고급 시각효과, 애니메이션, 편집, 디지털 컬러 그레이딩 솔루션을 사용하여 극적인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조지 루카스가 설립한 세계적인 특수효과 제작업체인 Industrial Light & Magic(ILM)은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을 제작하며, 오토데스크의 영상 합성 툴인 오토데스크 디스크리트 인페르노와 오토데스크 마야 3D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이 영화에는 식인종들에 붙잡혀 뼈로 만들어진 둥근 새장에 갇혀 협곡에 매달린 윌 터너와 블랙 펄 선원들이 등장하는데, ILM은 재기 넘치는 잭 스패로우가 원하는 장면을 만들기 위해 인페르노를 사용하였다. 파란 스크린을 배경으로 촬영한 배우들의 액션 장면, 물 접시, 디지털 매트 절벽을 함께 합성하고, 이 장면에 새, 안개, 육교를 추가한 것. 또한 인페르노는 라제티의 나무로 된 눈을 만들고, 조명을 넣은 후 애니메이트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마야로는 데비 존스와 크라켄 바다 괴물들의 촉수를 만들었다.

『엑스맨: 최후의 전쟁』에서도 다양한 오토데스크의 솔루션들이 사용되었다. 디지털 이미지  수정을 전문으로 하는 로라 VFX(LOLA VFX)는 개막 시퀀스에서 젊음의 분수를 제작하는 데 오토데스크 디스크리트 인페르노(Autodesk Discreet Inferno)시스템을 사용했다. 디지털 아티스트들은 관련 장면, 성형외과 의사의 조언, 인페르노로 개발한 특별 기법을 사용하여 자비에르 교수와 마그네토를 최고 20년까지 젊어 보이게 만들었다. 주름 제거, 눈 크기 조정, 치아 교정과 같은 디지털 이미지 수정이 영화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처럼 캐릭터를 크게 젊어 보이게 하는 효과는 처음이다. 로라 VFX의 자매 스튜디오인 하이드로룩스(Hydraulx) 또한 인페르노, 플레임(Flame), 번(Burn), 마야, 컴버스천(Combustion) 데스크톱 소프트웨어, 오토데스크 백드래프트 미디어 관리 및 I/O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 영화의 235 장면을 완성했다.

프레임스토어 CFC(Framestore CFC)가 <엑스맨: 최후의 전쟁> 110 장면을 작업하는 데 사용한 솔루션은 마야. 벤 포스터(천사 역)의 디지털 대역 배우를 만들고 그에게 컴퓨터로 작업한 날개를 달아주었다. 크레그 린(Craig Lyn) VFX 감독은 “금문교를 조립하고, 리그, 애니메이트하는 데에도 마야를 사용했다. 3D로 작업해야 하는 절대적인 양이 많은 것이 문제였으나 기존의 애니메이션, 렌더링 파이프라인에 원활히 통합되어 워크플로를 개선하는 사용자 정의 툴을 만드는 마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었다.” 라고 밝혔다.

마크 페티트 오토데스크 M&E 부사장은 “아티스트들이 오토데스크의 솔루션을 사용하여 영화 관람객들에게 잭 스패로우의 환상적인 캐러비안 바다와 같은 풍부하고 역동적인 세계를 제공하는 데 일조를 하게 되어 기쁘다.” 고 말했다.

이 외에도 오토데스크 솔루션으로 제작한 영화들은 다음과 같다.

-다빈치 코드(The Da Vinci Code): Double Negative는 로버트 랭던의 기억 등 약 80개의 컴퓨터 생성 장면을 제작하는 데 마야를 사용했다.
-포세이돈(Poseidon): ILM은 마야를 사용하여 181,579개의 렌더링이 가능한 조각들을 만들고 1,100 피트 길이의 화려한 컴퓨터 생성 유람 여객선을 조립하였다. 하이드로룩스(Hydraulx)는 인페르노, 플레임(Flame), 번(Burn), 마야, 컴버스천(Combustion), 오토데스크 백드래프트을 사용하여 이 영화의 작업을 수행했다.  
-미션 임파서블 III (Mission: Impossible III): ILM은 자사의 특허 SABRE 시각효과 시스템의 일부로 마야와 인페르노를 사용하여 중국 상해를 컴퓨터로 재생하고 다양한 액션 장면들에 현실감을 불어 넣었다.
-클릭(Click): 소니 픽처스 이미지웍스(Sony Pictures Imageworks)는 애니메이트된 캐릭터, 무대 제작, 조명 설치를 위해 마야를 사용했다.
-크리쉬(Krrish): Prasad Labs의 사업부인 EFX는 마야, 컴버스천, 3ds Max, 플레임, 디스크리트 스모크 편집 마무리 시스템, 디스크리트 러스터 디지털 컬러 그레이딩 시스템을 사용하여 볼리우드 영웅 영화를 제작했다.

자세한 정보와 이미지는 www.autodesk.com/SummerBlockbusters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스튜디오 연결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