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landlogo First Page
고객센터   
gallery media job community contentsmall  
  dbrush Blizzardfest 2014
 
[제품소개]국내최초 웹기반 렌더팜 매니지먼트툴 RenderCAT v1.0   2006-12-18
국내최초 웹기반 렌더팜 매니지먼트툴 RenderCAT v1.0
진창봉기자 ferari50@cgland.com
ⓒ 디지털브러시 & cgland.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국내 최초 WEB을 기반으로 개발된 국산 RenderFarm Management Software RenderCAT v1.0은 국내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2004년 초반 인하스 툴로 개발된 렌더팜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 입니다. RenderCAT의 초창기 버전에서는 GUI가 없는 쉘 스크립 기반에서 작동되는 형태로, 무엇보다도 속도가 관건인 렌더링 작업에서는 쉘스크립의 형태가 모든 렌더링 작업에 적합하고 최적화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습니다.

이번에 출시된 RenderCAT v1.0은 유저들을 위한 쉽고 간단한 WEB GUI를 제공합니다.
RenderCAT을 개발한 제작사인 DINODE(디아이노드)의 장점은 CG 업계에서 리눅스를 이용한 작업 워크플로어에 대한 노하우를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의 드림웍스에서 리눅스를 도입한 시기보다도 빠른 시기에 리눅스를 도입해서, 모든 작업 파이프라인을 리눅스로 구성한 점이 현재의 CG 업계와 미래의 CG 업계에 충분히 대응 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물론 윈도우 기반의 기술력도 갖추고 있어, 현재 RenderCAT은 리눅스, 윈도우, 맥의 모든 플랫폼을 지원하고 있다.

[RenderCAT v1.0 장점]
• 합성과 3D작업물의 증가에 따라 렌더링에서 소요되는 시간 단축의 필요성에 의해서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 2001 년 Linux와 Windows의 자체 성능비교 테스트 결과 Linux기반에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들의 성능이 뛰어나다는 판단하에 작업 machine의 대부분을 Linux로 전환하고 그에 맞게 개발환경 또한 대부분 Linux로 전환하였습니다.
• RenderCAT v1.0은 인하우스 툴로 개발되어 사용자들의 편의성, 안정성에 많은 비중을 두고 각 프로덕션에 맞게 세팅을 할 것입니다.
• WEB을 이용해서 외국의 렌더팜 매니지먼트 툴보다 인터페이스가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다.
• 국내의 CG 영상 제작 프로덕션의 파이프라인에 맟춤식 서비스가 가능함.
• 자체적인 기술력으로 클라이언트의 요구 사항에 바로 대응 할 수 있음.
• 변화해 가는 리눅스 환경에 많은 노하우를 가지고 있음.
•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10년의 제작 경험을 가지고 있는 인원으로 DINODE의 직원 구성.

[RenderCAT v1.0 렌더팜 구성도]

많은 디지털 크리에이터들이 잘못 인식하고 있는 것 들 중에, 단순히 렌더팜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는 그냥 인스톨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물론 그렇게 한다고 해서 렌더링이 걸리지 않는 것은 아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렌더팜 소프트웨어는 단지, 자체로만 작동을 하는 것이 아니고, 스토리지, 어플리케이션서버, 파일서버, 네트웍허브, 렌더팜 머신, 소프트웨어 등이 하나의 통합적인 환경으로 구축이 되어야 비로소 렌더팜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의 위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렌더링 작업에 최대한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물론 많은 기업들이 비용적인 문제로 이런 부분까지 생각할 여유는 없을지 모르겠지만, 애초에 이런 구성을 미리 머리속에 넣어 둔다면, 작업 파이프라인이 확장이 되었을 때 그만큼 많은 비용은 절감 할 수 있는 효과는 보장이 된다.

그리고 또 한가지, 국내 기업 여건상 거의 대부분이 윈도우 환경으로 렌더팜을 구성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된다. 기존의 작업환경 자체가 윈도우 베이스로 구성이 되어있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이런 구성으로 하게 되는 경우와, 리눅스 환경에 대한 지식들이 없어서 그러는 경우. 이렇게 두 가지로 압축을 해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듯이 많은 비용적인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일단 OS에 대한 비용부터 생각하면 까마득 해진다. 그리고 또한, 작업 퍼포먼스에 대한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국내 포스트 프로덕션에서 작업파일 사이즈가 너무 커서 씬 조차도 오픈이 되지 않는 그런 경우를 많이 경험을 했을 것이다. 이런 부분들이 단지 OS만에 문제라는 것을 대다수의 사람들은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리눅스에 대한 지식이 없어서 사용을 못하는 경우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글을 쓰는 필자도 마찬가지로 [리눅스는 왜 이래]할 정도로 윈도우에서 쉽게 되는 것이 리눅스로 오면 안되는 이런 현상들을 많이 만나게 된다. 일반적인 데스크탑의 환경하에서의 생각들이다. 하지만, 렌더팜 얘기로 들어가면 이런 것들은 그렇게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지 않는다. 일단 부하가 많이 걸리는 작업들을 일상적으로 많이 하는 크리에이터 들에게는 1분 1초라도 더 빨리 작업이 끝나는 것을 원할 것이고, 더불어 작품 퀄리티의 향상을 위해서는 비록 몇 가지의 불편한 점이 있다 할지라도 작업의 생산성을 생각해보면 리눅스로의 전환이 해답일 것이다. 이런 부분을 해결하고자 DINODE는 헐리우드의 대형 제작사들 보다도 빠른 시기에 리눅스를 도입해서 렌더팜을 세팅하고, 렌더팜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를 만들었다.

DINODE는 모든 CG 제작업체의 제작 파이프라인을 리눅스로 전환시키는 것 을 목표로 RenderCAT의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리눅스에 대한 지원을 아낌없이 시행하고 있다. 걱정 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생각의 전환만이 필요할 뿐 입니다.


[RenderCAT v1.0 구조도]


위의 그림에서 작업자는 단순히 웹브라우저를(익스플로어, 파이어폭스) 열어서 자기가 작업 한 씬을 렌더링 하면 끝이다. RenderCAT은 자체 DB를 가지고 있어서, 모든 데이터의 정보 를 관리하고 렌더팜과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파일서버를 관리하고 컨트롤을 할 수 있다. 기존의 외국의 소프트웨들이 사용하는 방식과는 차별화 된 RenderCAT 만의 장점이다. 작업자들의 컴퓨터에는 렌더팜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아무것도 인스톨을 하지 않는다. RenderCAT을 개발한 인력들 또한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담당했던 경험들을 가지고 있어, 무엇보다도 국내의 작업 여건에 어울리는 작업자들을 위한 렌더팜 매니지먼트 소프트웨를 디자인 할 수 있는 마인드를 가지고 있다.


RenderCAT v1.0 스펙

지원 Software
• - Maya
• - XSI
• - 3DS MAX(Windows Only)
• - Shake
• - After Effects(Windows Only)
• - Nuke:요구에 따라 지원가능
• - Digital Fusion:요구에 따라 지원가능

지원 OS
• - Application Server[Linux(권장), Windows, MacOS X]
• - File Server[Linux(권장), Windows]
• - Client[Linux, Windows, MacOS X]:Client 컴퓨터에는 별다른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 - RenderFarm[Linux(권장), Windows, MacOS X]

지원 Web Browser
• - Windows: Internet Explorer, Firefox
• - MacOS X: Firefox
• - Linux: Firefox

DINODE(제작사)소개
 회사명 : DINODE [디아이노드]
 설립일 : 2006년 8월
 대 표 : 홍 희정
 자본금 : 500만
 주 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660-13 301호
 임직원 : 3명
 홈페이지 : www.rendercat.com

마무리
RenderCAT은 국내외의 많은 CG제작 프로덕션의 작업 파이프라인에 공헌 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을 위하여 향후 RenderCAT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와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부응 하는 제품 개발을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을 약속 드립니다. 대한민국의 CG 업계에 공헌 할 수 있는 DINODE(디아이노드)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구매처 : 씨지랜드

 
스튜디오 연결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