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landlogo First Page
고객센터   
gallery media job community contentsmall  
  dbrush Blizzardfest 2014
 
[리포트][기획] 6대 진흥기관 2007년 계획-GDCA   2007-02-15
경기도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기업유치, 기업육성 및 마케팅 지원, 전문인력양성
전계철기자 eyesmiso@cgland.com
ⓒ 디지털브러시 & cgland.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2007년 새해를 맞아 씨지랜드는 디지털콘텐츠 산업을 후방에서 지원하는 전국 6대 진흥기관의 새해 계획을 한데 모았습니다.

이번 기획에 응해 주신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 ▲서울애니메이션센터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관계자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07년 디지털콘텐츠 업계에 대한 지원사업을 한 눈에 가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김병헌 원장

우리의 문화콘텐츠가 세계를 향해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아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인들에게 한류는 새로운 문화트렌드 입니다.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의 음식에 먹으며, 한국 노래를 듣고,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봅니다.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은 2005년 ‘디지털문화콘텐츠 산업 비전 2010'을 통해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했으며, 2006년 한 해 동안 투자조합 결성과 우리 문화콘텐츠의 수출 및 해외 우수기업 유치 그리고 국내외 문화산업 기관과 연계한 업무협약과 이를 통한 문화산업 발전의 근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이제 우리의 문화콘텐츠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21세기를 준비하기 위해 우리 문화콘텐츠를 키워야 합니다. 2007년에도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은 문화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해 열심히 달리겠습니다. 여러분의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2007년도 GDCA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 주요 사업 계획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의 2007년 한 해는 경기도 문화산업에서 구체적인 실행과 성과들을 거두어들이는 한 해가 될 것입니다.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은 경기도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2007년 핵심사업으로 기업유치, 기업육성 및 마케팅 지원, 인력양성 등의 주요사업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2007년도 역점추진 과제 추진에 앞서 진흥원은 팀별 책임경영과 핵심 역량강화, 성과 지향형 경영 실행을 위한 조직 개편을 단행하였습니다. 조직은 작고 강한 현장형 조직으로 거듭나고자 기존의 본부제 폐지를 통한 의사결정의 단계를 최소화 하고, 각 팀의 기능을 강화해 업무의 신속성을 높이는데 주력했습니다. 또한 각 분야 전문가의 직무 능력을 최대한 강화해 성과중심의 조직으로 운영해 나갈 방침입니다.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의 2007년 역점추진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국내외 선도 기업유치 사업입니다. 진흥원은 그동안 일본애니메이션 제작사의 1,000만 달러 투자 유치, 국내 애니메이션과 게임전문기업인 손오공(매출600억원)의 부천 이전, 제작센터를 통한 국내 메이저 제작사 프로젝트 63억원 유치 등 기업유치를 성공으로 이끌어 왔습니다. 경기도 문화산업 클러스터 구축이라는 목표 아래 본격 가동을 앞두고 있는 기업유치 사업을 통해 앞으로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게임, 영화 등 국내와 해외 우수 문화콘텐츠 기업 유치에 나설 계획입니다. 또한 장르별, 지역별로 특화하여 유치함과 동시에 시군 문화콘텐츠 관련 기관과의 기업유치 공동사업도 전개할 방침입니다.

두번째로 기업육성 및 마케팅 지원사업 입니다. 지난해 총 187억원 규모의 투자조합 결성으로 지역문화산업기관 중 국내최초로 문화콘텐츠 투자조합을 결성한 진흥원은 프로젝트 수출 및 공동제작 투자 유치 등으로 190만 달러의 수출 효과를 이루었으며, 지역문화원형사업 수주(3억원), CRC사업 수주(13억원), 우수콘텐츠 21개 작품을 제작지원 하는 등 투자환경 개선으로 기업 육성을 선도해 왔습니다. 이를 강화하기 위해 신설되는 마케팅팀에는 기업지원, 기업유치 및 마케팅, 기업육성, 렌더팜실, 편집ㆍ합성실 등으로 나뉘어 운영됩니다. 마케팅팀은 문화콘텐츠 투자조합 결성 기금 운영, 신화창조 프로젝트 사업, 이를 통한 지역활성화 및 균형발전 지원사업을 전개해 나가며, 아시아 최고의 문화콘텐츠 마켓플레이스 성공모델 창출 등 더욱 체계적인 마케팅 지원사업을 전개해 나갈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인력양성 사업입니다. 진흥원은 2004년부터 아카데미를 통해 42명의 애니메이션 예비감독 배출, 지역전문가 교육을 통한 문화콘텐츠 지역전문가 230명을 배출해냈습니다. 또한 제작센터를 통한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에 나서는 한편 경기도 대학의 관련학과 활성화 지원사업을 전개해 왔습니다. 2007년부터 아카데미는 2년 4학기제로 학제 개편하여 전문성 제고를 위한 심화학습 교육이 강화되며, 아카데미 졸업생과 제작센터 프로젝트를 연계해 실무경험을 확대합니다. 또한 관련학과 활성화 사업 및 지역 문화콘텐츠 전문가 교육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은 2007년 주요 추진과제를 통해 경기도가 아시아 문화콘텐츠 산업 발전에 중심이 되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며, 우리 문화콘텐츠 산업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해나가겠습니다.



GDCA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

경기도의 문화산업육성 조례에 따라 디지털문화콘텐츠 산업을 진흥하기 위해 2001년 설립된 경기도 산하 재단법인이다.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에서는 이에 따라 애니메이션, 게임, 캐릭터, 영화 등 우리의 디지털문화콘텐츠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기획에서 제작, 마케팅까지 전 과정을 지원 육성하며, 경기도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정책 수립과 사업 실행을 통해 산업 중심의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스튜디오 연결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