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landlogo First Page
고객센터   
gallery media job community contentsmall  
  dbrush Blizzardfest 2014
 
[리포트]초입체감 영상시대의 도래   2008-12-09
초입체감 영상시대의 도래
박준기기자 marcjacobs@cgland.com
ⓒ 디지털브러시 & cgland.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초입체감 영상시대의 도래

. 김은수 광운대학교 교수



영화 마이너리티리포트를 보면, 주인공 톰크루즈가 가족과 찍은 동영상을 일반적인 디스플레이가 아닌 공중에다 홀로그램을 펼쳐놓고 3차원 입체 영상을 만들어 회상하는 장면이 나온다. 어디선가 한번쯤은 봤음직한 SF 영화의 한 장면이다. 여기서 3차원 입체영상으로 등장한 가족들은 물리적인 실체는 아니지만 말과 행동, 외형 모든 것이 실제 사람을 직접대하는 것과 똑같다. 할리우드 영화에서는 이렇듯 다양한 미래의 모습이 최첨단 특수효과를 통해 현실처럼 묘사되고 있지만, 이것이 바로 차세대 3차원 입체디스플레이의 한 예를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3차원 입체영상 구현 기술은 이제 더는 SF 영화 속 꾸며진 이야기로 머물러 있지 않고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 미래지향적인 영상기술이나 제품들이 실제로 개발 완료되어 대중화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3차원 입체영상은 기존의 2차원 평면영상과는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영상과 유사하여 시각정보의 질적 수준을 몇 차원 높여 주는 새로운 개념의 실감영상 미디어로서 차세대 디지털영상문화를 주도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3차원입체영상 기술은 차세대 실감 정보통신서비스의 총아로 사회선진화와 더불어 수요 및 기술 개발경쟁이 치열한 고도화 기술로서 향후 3차원 입체 TV를 비롯하여 정보통신, 방송, 의료,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기존의 모든 산업제품 개발에 응용되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을 할 전망이다.

차세대영상매체, 방송, 통신, 게임, 의료 등 광범위한 응용 분야를 가진 3D 디스플레이에 관한 기술 및 시스템 개발은 최근 기술 선진국에서 국책 기술개발로 많은 투자와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3D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핵심기술 연구개발은 한국, 미국, 일본, 유럽 등을 중심으로 기술선점을 위해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들로 일본에서는 2006년부터는 총무성주관으로 유니버설 커뮤니케이션기술(UCT) 개발을 통해 2020년 실용화를 목표로, 음식냄새와 상품 촉감도를 느낄 수 있는 공감각 입체 TV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20049EC의 지원 하에 Bilkent 대학, De Montfort 대학 등 7개국 19개 기관이 참여하여 3DTV(Integrated Three-Dimensional Television-Capture, Transmission and Display)라는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입체 영상의 획득, 전송, 디스플레이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미국에서는 최근 USDC(US Display Consortium)Insight Media 사를 중심으로 3차원 입체영상 기술의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고,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3D 입체 영화관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058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미래 유망기술로 게임, 디지털영상, 가상현실 등 콘텐츠 제작에 응용하는 기술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이 포함된 감성형 문화 콘텐츠 기술, 3D 멀티미디어 콘텐츠 저작 및 실시간 제공 기술 등이 포함된 실감형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등을 선정하고, 20053월에는 3DTV 차세대 주력 품목 육성을 위한 ‘3D Vision 2010 전략’을 마련해 3D관련 연구개발 및 국제표준화 문제를 포함한 중장기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광운대학교의 국가지정 ‘차세대 3D 디스플레이연구센터’에서는 독창적이고 새로운 개념의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그 동안 ‘3D Floating Display, 3D Virtual Stage, 3D Broadcasting System, 3D Digital Library’ 등을 세계최초로 연구 개발해 국내외특허출원하고, 관련 기업체로 기술을 이전함으로써 상품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0611월에는 일본의 '3D Consortium'과 동경 아키하바라에서 ‘3D Fair 2006’을, 200711월에는 서울에서 ‘3D Fair 2007’행사를 공동 개최함으로써 3D 입체기술 연구개발의 국제적인 허브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스튜디오 연결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