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된 부산시의 향후 정책은 2020년 게임산업 중심도시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국내 메이저 게임기업과 글로벌 게임 R&D센터를 유치하고 지역 게임기업을 중견기업으로 육성해, 2020년 부산지역 게임제작기업의 매출규모 1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5대 전략, 21개 과제 추진을 위해 총 4,200억 투입
부산시는 차세대 게임제작 기반조성, 미래형 창의인력·선도기술 확보, 게임제작 활성화 지원 및 유통환경 선진화, 게임문화 가치창조, 글로벌시장 전략적 진출이라는 5대 추진전략 하에 21개 과제 실행을 위해 2020년까지 국·시비와 민자유치를 통해 총 4,2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센텀시티에 부지 9,918㎡, 연면적 19,809㎡, 지상9층, 지하1층 건립되고 있는 ‘부산문화콘텐츠컴플렉스’를 중심으로 게임 등 문화콘텐츠 분야 발전의 가속화를 위해 지역게임기업을 집적화하고 글로벌게임허브센터 분원을 유치해, 지역 유망 게임기업의 인큐베이션과 차세대 게임콘텐츠·솔루션을 개발하는 한편, 게임 비즈니스 모델 및 글로벌 기업 협력모델도 함께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수도권에 소재하는 메이저게임기업들의 스튜디오와 글로벌 게임 R&D센터도 유치하여 부산을 게임산업 글로벌 마케팅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게임 등 문화콘텐츠 관련 기업의 집적화 및 경영을 지원하고, 문화콘텐츠 기술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등 제반 시책을 집행할 전문조직인 가칭 ‘부산콘텐츠진흥원’설립을 추진하여 게임산업 등 지역 문화콘텐츠산업 진흥 추진의 구심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게임 핵심전문인력 양성과 선도기술 확보를 위해 지역대학 및 관련 기관을 통해 게임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게임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공급하고, 국제적인 컨퍼런스와 국책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게임 핵심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장기적으로 국립 ‘문화콘텐츠기술(CT)연구원’과 ‘지역거점 문화기술(CT)연구센터’를 유치하여 지역 전문인력의 고용창출과 기초·원천 문화기술의 연구 및 상용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방송영상, 의료, 관광, 국방, 제조업 분야 등에 활용 가능한 체감형 가상현실(VR)과 입체영상기술(3D)의 잠재력 및 수요증대, 미래 게임비즈니스 모델변화(다양화, 복합화, 첨단기술접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첨단 디바이스 개발을 통한 새로운 시장 창출 및 해외진출 모델도 적극 발굴한다.
문화체육관광부와의 협력을 통해 국제게임전시회인 지스타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국내 e스포츠 메카의 명성에 걸 맞는 e스포츠 경기장 구축, 세계 e스포츠대회 및 e스포츠 페스티벌을 개최해 시민들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부산게임업체들의 글로벌시장 진출을 지원하며, 문화콘텐츠 협력사업을 지원하는 등 최근 세계 시장에 우수게임을 출시하며 도약하고 있는 부산게임기업의 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작년에 성공적으로 개최된 지스타가 올해에도 연속적으로 부산에서 개최될 예정이고, 아케이드 게임기기 해외수출을 위한 국제표준 기술심의를 담당하는 국제게임기기 인증센터가 동서대에 설립될 예정이며, 메이저 게임업체인 넥슨의 게임개발 부산 스튜디오도 상반기 내에 본격 가동될 것”이라고 밝히면서, “부산의 게임산업 진흥 중장기 계획 중의 일부는 벌써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고 있다”며 “2020년 게임산업 중심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부산의 게임산업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