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landlogo First Page
고객센터   
gallery media job community contentsmall  
  dbrush Blizzardfest 2014
 
[탐방]디자인서울 국제 컨퍼런스, 성황리에 종료   2010-09-27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주제로 지난 9월 17, 18일 양일간 개최된‘디자인서울 국제 컨퍼런스’가 ’모두를 위한 디자인’, ‘공간을 창조하는 디자 인’, ‘한·중·일 문화와 디자인’의 세 가지 세션을 성황리에 마치고 종료되었다.
씨지랜드기자 cgland@cgland.com
ⓒ 디지털브러시 & cgland.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주제로 지난 9월 17, 18일 양일간 개최된‘디자인서울 국제 컨퍼런스’가 ’모두를 위한 디자인’, ‘공간을 창조하는 디자 인’, ‘한·중·일 문화와 디자인’의 세 가지 세션을 성황리에 마치고 종료되었다.

이번 컨퍼런스는 전 세계에서 온 디자인 전공 학생, 디자이너 등 1,000여 명의 열성적인 참가로 18일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크리스 루브크만(미국), 스테파노 지오반노니(이탈리아)등이 연사로 나섰고 19일에는 이상해(한국), 정수양·뤼징런(중국), 쿠로카와 마사유키(일본) 등 한·중·일 석학이 동양의 문화와 디자인을 재조명하는 시간으로 진행되었다.

17일 컨퍼런스 첫날에는 미국의 건축가 크리스 루브크만(Chris Luebkeman)이 기조연설을 통해 “일상에서 만나는 평범함이란 상대적 개념이며 디자인은 이러한 평범함에서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청중들에게 던졌다.

이어 한복을 입고 무대에 등장한 오세훈 서울시장은 그동안 서울 시정을 이끈 핵심 키워드 ‘디자인서울’의 의미와 성과를 청중들에게 직접 설명하면 서 그린(Green)·블루(Blue)·히스토리(History)·휴먼(Human)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오세훈 시장은 북한산에서 시작하여, 남산을 거쳐 관악산까지 이어지는 서울의 녹색 축 형성을 통해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그린 디자인’ 의 의미와 생태적으로 복원되는 한강과 서울의 지천 회복 사업 등 ‘블루 디자인’의 청사진을 직접 설명했다.

또한 이탈리아 디자이너 스테파노 지오반노니(Stefano Giovannoni)는 80 년 대부터 현재까지 자신이 디자인한 작품의 설명을 통해 세계 디자인의 흐름을 제시하였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만드는 디자인의 힘과 디자이 너의 역할에 대해 청중들과 의견을 나누었다.

첫날 마지막 주제발표 연사로 나선 메타 디자인 분야 권위자 영국의 존 우드(John Wood) 교수는 지금까지 인류가 선택해온 삶의 방식에 의해 우리는 위기에 직면해있으며,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창조하는 메타 디자인에 대해 보다 많은 사람들과 공감을 나누고 싶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어 (주)레오모터스 김영일 부회장의 사회로 진행된 패널 토론과 청중과 의 질의응답에서 김한아씨는 사회적 기업 (주)리블랭크 채수경 대표에게 “외국에 비해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재활용 디자 인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를 물었고, 채수경 대표는 “소셜(Social) 디자인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노리단 등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을 만나고 있으 며, 우리의 작은 실천이 모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지속가능한 삶을 고민하게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답변했다. 그 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조주연씨와 존 우드 교수가 디자인 교육에 대한 질의 응답을 진행하면서 컨퍼런스장의 열기를 더했다.

18일에는 멘디니, 김석철, 리베스킨드 등 잠실주경기장에 설치된 세개의 파빌리온 연출자가 연사로 나서 ‘공간을 창조하는 디자인’을 주제로 파빌리온의 연출의도를 설명하면서 청중들과 만났다.

컨퍼런스의 마지막 세션은 이상해(한국), 정수양·뤼징런(중국), 쿠로카와 마사유키(일본) 등 한·중·일 석학이 동양의 문화와 디자인을 재조명하는 시간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한·중·일 삼국이 공통으로 형성해온 “격물치지 (格物致知):실제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완전하게 함”는 동아시아 삼국이 공통적으로 중시하는 유교의 가르침 중 하나로 ‘한·중·일 문화와 디자인 세션’의 주된 화두로 논의되었다.

지속적인 경제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세계화‘와 ’지역화'가 가속 화되는 지금, 격물치지의 눈으로 한국, 중국, 일본의 디자인문화를 새롭게 조명한 컨퍼런스의 마지막 시간은 청중들의 공감과 큰 호응을 얻었다.

디자인을 주제로 많은 사람들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한 ‘디자인서울 국제 컨퍼런스’가 개최된 ‘서울디자인 한마당 2010’은 오는 10월 7일(목)까지 서울 잠실종합운동장과 마포·홍대, 구로디지털단지, 동대문 DDP, 강남 신사동 등 4대 디자인 클러스터에서 개최된다. 모두를 위한 디자인 (Design for All)을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행사의 관람을 원하는 시민은 모든 행사를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와 서울디자인 한마당 2010 홈페이지(http://sdf.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튜디오 연결끊기